316L · 316Ti 국제 규격별 재질 대응표 (ASTM / EN / DIN)
SUS316L과 316Ti는 대표적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용도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폭넓게 사용되는 재질입니다. 하지만 나라마다 명칭과 표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설계도면 해석, 해외 자재 구매, 수출입 서류 작성 시 정확한 재질 대응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316L과 316Ti의 ASTM, EN, DIN 등의 국제 규격별 재질 명칭을 정리해 드립니다.
1. 스테인리스 표준 규격이란?
스테인리스강은 전 세계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규격 체계를 사용합니다:
- ASTM (미국재료시험협회) – 가장 보편적인 국제 규격, “AISI/UNS”와 병행 사용
- EN (유럽표준) – 유럽 연합 통합 규격, EN 10088 표준이 대표
- DIN (독일규격) – 유럽 표준 통합 이전부터 사용된 독일 규격
- JIS (일본공업규격) – 한국에서도 널리 사용됨 (SUS 표기로 시작)
2. 316L · 316Ti 재질 대응표
구분 | ASTM / AISI / UNS | EN / EN 번호 | DIN | JIS |
---|---|---|---|---|
316L | AISI 316L / UNS S31603 | EN 1.4404 / X2CrNiMo17-12-2 | 1.4404 | SUS316L |
316Ti | AISI 316Ti / UNS S31635 | EN 1.4571 / X6CrNiMoTi17-12-2 | 1.4571 | SUS316Ti |
3. 각 표기의 의미
✅ ASTM / AISI / UNS
- AISI 316L: 미국 철강협회 명칭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관용적으로 사용)
- UNS S31603: ASTM 표준의 공식 UNS(통합 번호 시스템) 표기
- UNS S31635: 316Ti에 해당하는 UNS 번호
✅ EN (유럽 표준)
- EN 1.4404: 316L에 해당
- EN 1.4571: 316Ti에 해당, Ti 안정화가 명시됨
- X 뒤의 숫자 및 기호는 주요 원소(Cr, Ni, Mo, Ti)의 함량을 나타냄
✅ DIN (독일 규격)
- DIN EN 10088 규격에서 EN과 동일하게 사용
- 1.4404 = 316L, 1.4571 = 316Ti로 일치
✅ JIS (일본 규격)
- 일본식 표기로 SUS316L, SUS316Ti 표기
- 한국 도면 및 설계 자료에서도 널리 사용
4. 316L vs 316Ti 선택 시 주의사항
- 316L: 일반적인 내식성이 뛰어나고 용접성이 우수하여 식품, 제약, 클린룸 배관 등에 적합
- 316Ti: 고온 안정성 우수하여 보일러, 열교환기, 배기계통 등에 사용
- 316Ti는 EN 1.4571, UNS S31635로 표기된 경우 주의 깊게 해석 필요
5. 도면 및 납품 시 대응 요령
- UNS나 EN 표기만 적힌 경우라도 대응표를 통해 JIS 및 ASTM 재질을 확인 가능
- 해외 자재 발주 시 “1.4404 = SUS316L”, “1.4571 = SUS316Ti”를 정확히 명시해야 혼선 방지
- 자재시험성적서(MTC)에 기재된 번호와 대응 확인 필수
마무리하며
스테인리스 재질은 표준마다 표기 방식이 달라 혼동되기 쉽지만, ASTM-EN-DIN-JIS 간의 정확한 대응 정보를 알고 있다면 설계 오류, 납품 혼선, 인증 불일치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SUS316L은 EN 1.4404, 316Ti는 EN 1.4571로 구분되며, UNS 번호로는 각각 S31603, S31635로 표기됩니다. 다음에는 SUS 재질별 내식성 비교도 함께 소개해드릴게요.
'산업용 밸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S 스테인리스 피클링 · 패시베이션 종류와 차이점 (0) | 2025.05.05 |
---|---|
SUS 재질별 내식성 비교 (0) | 2025.05.04 |
SUS316L vs 316Ti 차이점 (0) | 2025.05.03 |
SUS316L 용접 시 주의사항 (0) | 2025.05.03 |
SUS316 스테인리스 특성 완벽 정리 – 내식성, 용도, SUS304와 비교 (1) | 2025.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