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밸브 가공, 조립, 테스트 공정까지 한눈에 정리

neweveryinfo 2025. 4. 15.

밸브 가공, 조립, 테스트 공정까지 한눈에 정리

밸브는 다양한 산업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지난 글에서 소개한 밸브 시작 주물 공정이 끝나면, 이후에는 정밀 가공과 조립, 그리고 엄격한 테스트 단계를 거쳐 최종 제품으로 완성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밸브 제조의 중·후반 단계인 가공 → 조립 → 테스트 공정을 상세히 소개하겠습니다.

1. 밸브 가공 공정

주물로 형상을 얻은 밸브 바디는 기계 가공을 통해 정확한 치수와 표면 상태를 갖추게 됩니다. 이는 밸브의 밀폐 성능과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주요 가공 내용

  • 보링(Boring): 본체 내부 구멍의 직경 및 깊이 가공
  • 플랜지 면 가공: 배관과의 연결면을 평면도(Flatness) 있게 연삭
  • 시트면 가공: 디스크가 닿는 면을 평활하게 가공하여 밀봉성 확보
  • 스템 구멍 가공: 스템이 삽입되는 구멍의 직진도 및 위치 정확도 가공
  • 드릴링 및 탭핑: 볼트 체결을 위한 나사 구멍 가공

가공은 보통 CNC 선반, 밀링머신, 드릴링 머신, 연삭기 등을 활용하며, 정밀한 공차 기준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2. 밸브 조립 공정

가공이 완료된 밸브 부품들은 조립라인에서 하나의 제품으로 완성됩니다. 조립 단계는 부품간의 정렬, 체결, 윤활, 실링 등 정밀성과 기술력을 요하는 작업입니다.

조립 부품 예시

  • 디스크(Disc):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
  • 시트(Seat): 디스크와 접촉하여 밀폐
  • 스템(Stem): 디스크를 상하 또는 회전시키는 축
  • 패킹(Packing): 스템 주변의 누설 방지
  • 글랜드(Gland): 패킹을 눌러주는 부품
  • 액추에이터 또는 핸들: 수동 또는 자동 개폐를 위한 조작 장치

조립 시 유의사항

  • 조임 토크는 규격에 맞게 적용
  • 윤활유 및 그리스 사용 여부 확인
  • 내부 청정도 유지 (특히 스테인리스 밸브나 클린 환경용)
  • 부품 간 마찰 여부 및 정렬 정확성

3. 밸브 테스트 공정

조립이 완료된 밸브는 최종 출하 전 압력 테스트, 밀폐 테스트, 작동 테스트를 거쳐 품질을 보증합니다. 이는 안전성과 성능을 담보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주요 테스트 항목

  • 쉘 테스트(Shell Test): 밸브 본체의 내압 성능 확인 (유체 미통과 상태에서 외벽 확인)
  • 시트 테스트(Seat Test): 밸브 닫힘 상태에서 유체 누설 유무 측정 (밀폐 성능)
  • 작동 테스트(Operation Test): 밸브 개폐 작동 상태 및 스템 회전 확인
  • 기밀 테스트(Air Tightness): 공기나 질소를 이용한 누설 테스트

테스트는 대부분 수압 테스트 또는 공압 테스트로 진행되며, API, JIS, KS, ISO 등 국제 기준에 따라 진행됩니다.

4. 검수 및 출하

최종 테스트에서 합격한 제품은 외관 검수, 마킹, 포장 작업 후 출하됩니다. 밸브 표면에는 재질, 규격, 압력등급, 제조일자, 로트번호 등이 각인되며, 일부는 품질보증서(QC) 또는 테스트 리포트와 함께 출고됩니다.

마무리하며

밸브는 단순한 금속 덩어리가 아닌, 정교한 가공과 조립, 그리고 엄격한 테스트를 통해 완성되는 고정밀 부품입니다. 특히 고압, 고온, 부식성 유체가 흐르는 환경에서는 제조 공정 하나하나가 제품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죠. 오늘 소개한 가공–조립–테스트 단계를 이해하면 밸브가 얼마나 정밀하게 제조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밸브 테스트 기준이나 유지보수 방법도 함께 소개해드릴게요. 궁금한 점은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