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브 본넷 타입 선정 가이드 – 본넷 구조와 선택 기준
밸브 본넷(Bonnet)은 밸브의 상단 커버 부분을 의미하며, 스템(Stem)과 패킹(Packing) 등의 주요 부품을 보호하고 내부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본넷 구조는 밸브의 사용 압력, 온도, 유체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본넷 타입에 따라 밸브의 성능과 유지보수 편의성도 크게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밸브 본넷의 주요 타입과 각각의 특징, 그리고 선정 기준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밸브 본넷(Bonnet)이란?
본넷은 밸브 보디(Body) 위에 체결되는 부품으로, 내부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스템 작동 및 패킹 압축을 지원합니다. 본넷의 설계에 따라 밸브의 압력 저항성, 유지보수성, 씰링 성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2. 주요 본넷 타입 종류
1️⃣ 볼트 연결형 본넷 (Bolted Bonnet)
- 구조: 본넷과 보디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
- 특징: 가장 일반적인 구조, 유지보수 용이
- 적용: 중저압, 고온 배관용
- 장점: 분해·조립이 쉬워 부품 교체가 간편
- 단점: 볼트 풀림 및 누설 주의 필요
2️⃣ 압입형 본넷 (Screwed-in Bonnet)
- 구조: 본넷이 보디에 나사로 체결
- 특징: 저압, 소구경 밸브에 적합
- 적용: 수도, 가스 소형 밸브
- 장점: 저렴하고 구조 간단
- 단점: 고온·고압 사용 부적합
3️⃣ 용접형 본넷 (Welded Bonnet)
- 구조: 본넷과 보디를 용접으로 일체화
- 특징: 고압, 고온 환경에 최적
- 적용: 고압 스팀, 고온 가스 배관
- 장점: 누설 위험 최소화
- 단점: 분해 불가, 수리 어려움
4️⃣ 압력 밀봉형 본넷 (Pressure Seal Bonnet)
- 구조: 내부 압력을 이용해 본넷과 보디 사이를 밀봉
- 특징: 초고압, 초고온 환경 전용
- 적용: 발전소, 원자력, 초고온 고압 설비
- 장점: 압력이 높을수록 밀봉력 강화
- 단점: 가격 높고 설치 난이도 있음
3. 본넷 타입별 비교표
본넷 타입 | 특징 | 적용 압력 | 장점 | 단점 |
---|---|---|---|---|
볼트 연결형 | 분해·조립 가능 | 저압~중압 | 수리 편리 | 볼트 풀림 주의 |
압입형 | 나사 체결 | 저압 | 구조 간단, 저렴 | 내구성 약함 |
용접형 | 일체형 구조 | 고압 | 누설 최소 | 수리 불가 |
압력 밀봉형 | 내부 압력으로 밀봉 | 초고압 | 고압일수록 밀봉 강화 | 설치 복잡, 고가 |
4. 본넷 타입 선정 기준
- 압력 조건 – 50bar 이상이면 용접형이나 압력 밀봉형 고려
- 온도 조건 – 400℃ 이상 고온일 경우 압력 밀봉형 추천
- 유체 특성 – 스팀, 고압 가스는 밀봉 성능이 핵심
- 유지보수 필요성 – 자주 점검·수리 필요하면 볼트형 본넷 적합
- 설비 예산 – 비용 제약이 있을 경우 압입형 선택 가능
5. 현장 적용 예시
- 발전소 메인 스팀라인 → 압력 밀봉형 본넷 사용
- 일반 화학 플랜트 배관 → 볼트 연결형 본넷 사용
- 상수도 소형 밸브 → 압입형 본넷 사용
- 고압 오일&가스 라인 → 용접형 본넷 적용
마무리하며
밸브 본넷 타입은 단순히 구조 차이뿐만 아니라, 압력, 온도, 유지보수성에 따라 설비의 신뢰성과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 정리한 본넷별 특징과 선정 기준을 참고하여, 설치 환경에 가장 적합한 타입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에는 밸브 스템 씰링 구조 비교나 고온 밸브용 본넷 설계 포인트에 대해서도 소개해드릴게요.
'산업용 밸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S316 스테인리스 특성 완벽 정리 – 내식성, 용도, SUS304와 비교 (1) | 2025.05.02 |
---|---|
압력 밀봉형 본넷 구조 분석 (0) | 2025.05.01 |
ANSI 150LB 플랜지 규격표 정리 – 치수, 특징, 적용 분야 (0) | 2025.04.27 |
10K 플랜지(Flange) 규격표 완벽 정리 – 치수, 특징, 적용 분야 (0) | 2025.04.26 |
플랜지(flange) 규격 비교 – ANSI vs JIS vs DIN 차이 완벽 정리 (0) | 2025.04.25 |
댓글